목록전체 글 (85)
이나의 공부 블로그

1️⃣ 리액트 입문 2주차state의 불변성부터📌 불변성리액트 State를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개념인 불변성.불변성이란 메모리에 있는 값을 변경할 수 없는 것을 뜻한다.쉽게 풀어서 말하면 state를 직접 변경하지 않고 기존 것을 복사해서 새로운 값을 만들어 바꾸는 것이다. 리액트는 화면을 업데이트 할 때 이전 값과 새 값이 다르다는 것을 빠르게 인식해야한다.만약 state를 직접 바꿔버리면 리액트는 값이 바뀐 것을 인식하지 못해서화면을 업데이트하지 못하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. ❌ 잘못된 방법(불변성을 지키지 않은 경우)function App() { const [numbers, setNumbers] = useState([1, 2, 3]); const addNumber = () => { ..
어제 UI 집중반에서는 2시간 가량 피드백 시간을 가졌다.2시간 집중해서 듣고나니 넘 힘들어서 TIL 제대로 마무리 못한 채로 일단 내버리고 퇴실 하자마자 기절잠 자버림... 항상 내가 만든 UI는 뭔가 밋밋하고 단조롭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...피드백 시간에 튜터님께서 왜 그런지 짚어주셔서 고칠 점을 알게 되었다!!나는 예전부터 디자인할 때 강약 조절을 잘 못한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는데ㅠㅠ 아직도 그렇군...좀 더 과감하게 강약 조절을 해보도록 노력해야겠다!!! 오늘은 리액트 강의를 안들었다아직도 props와 state가 이해가 안가기 때문이다 ㅎㅎ여기 저기 다른 강의도 찾아보고튜터님께서 발제시간에 눈높이에 맞춰 가르쳐주신 걸 들었는데도 잘 모르겠다....전에 같은 팀이었던 분들이랑 잠시 얘기 나눴..

1️⃣ 리액트 입문 2주차props가 너무 어려워요2222📌 props 추출props 추출이란 컴포넌트가 받은 props 중에서 필요한 특정 값만 꺼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.props 추출을 사용하며 코드의 가독성이 더 좋아지며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proprs를 쉽게 재사용할 수 있다. 1. 구조 분해 할당과 props구조 분해 할당은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해체하여 그 값을 개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JavaScript의 표현식이다.function Greeting({ name }) { return 안녕, {name}!;}function App() { return ;} {name}을 사용하여 props.name이라고 길게 적지 않아도 객체에 접근 가능하다. 2.Default argument..